본문 바로가기
정보

인수공통감염병 10종

by 오늘, 분다 2025. 5. 23.
728x90
반응형



인수공통감염병(人獸共通感染病, Zoonosis)은 동물과 사람 사이에서 전파될 수 있는 감염병을 말합니다. 세계보건기구(WHO)와 질병관리청(KDCA) 등에 따르면 대표적인 인수공통감염병은 다음과 같은 것들이 있습니다:

**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병 10종


1. 광견병 (Rabies)
- 감염된 동물(특히 개, 박쥐 등)에게 물리면 전파
- 치명률 매우 높음

2. 탄저병 (Anthrax)
- 탄저균 감염된 가축의 고기나 피부를 통해 전파
- 호흡기형, 피부형, 장형 등 다양한 형태

3. 결핵 (Tuberculosis)
- 사람 간 전파도 가능하지만, 소 등에서 유래한 우결핵균을 통해 감염될 수 있음

4. 브루셀라증 (Brucellosis)
- 감염된 소, 양, 염소 등에서 전파
- 발열, 관절통, 피로감 유발

5. 조류인플루엔자 (Avian Influenza, AI)
-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(H5N1 등)가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음


6. 중동호흡기증후군 (MERS)
- 낙타에서 사람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
- 코로나바이러스 계열




7. 에볼라바이러스병 (EVD)
- 야생동물(박쥐, 영장류)과 접촉하거나 감염자 체액 통해 전파
- 치명률 매우 높음


8. 렙토스피라증 (Leptospirosis)
- 설치류 등의 소변으로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
- 홍수 이후 증가할 수 있음



9.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 (EHEC)
- 오염된 쇠고기나 유제품, 사람-사람 전파도 가능
- O157:H7균이 대표적

10. 큐열 (Q fever)
- 감염된 소, 양, 염소의 분변, 분만 시 분비물 등을 통해 전파
- 공기감염 가능

이 외에도 사스(SARS), 라임병, 한타바이러스 감염증, 야토병 등 다양한 인수공통감염병이 존재합니다. 예방을 위해서는 동물과의 안전한 접촉, 개인 및 환경 위생관리, 적절한 백신 접종이 핵심입니다. 각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.

** 인수공통감염병 예방을 위해서

 

1. 동물과의 안전한 접촉

1) 일반수칙

- 야생동물과의 접촉 금지: 야생동물은 감염원일 수 있으므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- 가축 취급 시 보호장비 착용: 농장, 축산업 종사자는 장갑, 마스크, 보호복 착용.
2) 애완동물 관리 철저히
- 정기적인 백신 접종(예: 광견병)
- 외출 후 발 씻기, 털 관리
- 물거나 핥지 않도록 훈련
- 죽은 동물 무단 처리 금지: 사체는 즉시 방역당국에 신고.

 2. 위생관리


1) 개인 위생
- 손 씻기 철저: 동물 만진 후, 외출 후, 식사 전에는 반드시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.
- 상처 있을 경우 보호: 동물 접촉 시 노출된 상처가 감염 경로가 될 수 있으므로 방수밴드 등으로 보호.
- 고기·유제품은 완전히 익혀 섭취: 특히 쇠고기, 닭고기, 우유는 살균 또는 가열 필요.

2) 환경 위생
- 축사·사육장 정기 소독
- 쥐나 박쥐 등 매개 동물 차단: 음식물 덮기, 쓰레기 밀봉, 배수구 관리 등
- 야외 활동 후 세척: 논·밭·산 등에서 활동 후에는 옷과 신발을 깨끗이 씻고 샤워하기

3. 백신 접종
1) 사람 대상
- 광견병 노출 고위험군(수의사, 동물관리자, 야외활동자 등): 사전 예방접종 가능
- 렙토스피라증, 탄저병 등: 직업적 노출 위험이 있는 경우 선택적 접종
- 해외여행 전 필요한 풍토성 감염병 백신 확인 (예: 황열병, 광견병 등)

2) 동물 대상
- 반려동물: 광견병, 파보바이러스, 고양이 백혈병 등 정기 접종
- 농장동물: 브루셀라, 탄저병, 돼지열병 등 법정 예방접종
- 국가 지정 백신은 수의사의 지도 하에 실시

** 요약
- 동물과의 접촉 보호장비 착용, 야생동물 피하기, 반려동물 건강관리
- 위생관리 손 씻기, 식품 위생, 환경 소독 및 설치류 차단
- 백신 접종 사람·동물 모두 대상별 예방접종 철저
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