벤포티아민, 푸르설티아민, 비스벤티아민 차이와 구체적 적응증에 관하여 알아봅니다.
세 가지 모두 비타민 B1(티아민)의 유도체로, 주로 신경계 질환, 피로, 당뇨병성 신경병증, 대사 관련 장애 등에 사용됩니다. 그러나 흡수 방식, 지용성 여부, 약동학적 특징, 적응증에 차이가 있습니다.
1. 벤포티아민 (Benfotiamine)
1) 특징
- 지용성 유도체
- 티아민에 S-아실기(설폰산기)를 붙인 형태
- 장에서 지방을 통해 흡수 → 간에서 티아민으로 전환
- 뇌혈관 통과는 잘 못함, 말초 신경 중심
2) 주요 적응증
- 당뇨병성 신경병증 : 말초 신경 손상 완화, 통증 및 감각 이상 개선
- 항산화 보호 : AGEs(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) 생성 억제
- 근육통, 신경통 : 에너지 대사 효소 보조로 통증 경감
- 피로 회복 : 대사 개선 통해 체력 회복
3) 주요 제품
- 벤포벨 (종근당)
- 임팩타민 프리미엄 (대웅제약)
- 비맥스 메타 (GC녹십자)
- 메가트루 (유한양행)
2. 푸르설티아민 (Fursultiamine)
1) 특징
- 지용성, 알리신 유도체 (마늘에서 유래)(일명, 알리티아민)
- 신경조직 침투력이 뛰어남
- 뇌혈관 장벽(BBB)을 통과 가능
- 벤포티아민보다 중추신경계 작용이 강함
2) 주요 적응증
- 중추신경계 피로, 집중력 저하에 뇌 기능 활성화로 인지 개선 효과 가능성
- 피로 회복 정신적, 육체적 피로 회복에 효과적
- 신경통, 근육통 중추-말초 전반 작용
- 약물성 무기력, 노인성 무기력 뇌 활성화에 도움
3) 주요 제품
- 아로나민골드 (일동제약)
- 엑세라민 (일동제약)
- 투엑스비 듀얼정 (벤포티아민 + 푸르설티아민 혼합) (한풍제약)
3. 비스벤티아민 (Bisbentiamine)
1) 특징
- 티아민의 이량체(dimer) 구조
- 벤포티아민보다 더 지용성
- 말초신경과 뇌 모두 잘 침투, 생체이용률 가장 높다는 보고도 있음
- 주로 일본에서 사용
2) 주요 적응증
-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: 고용량 사용 가능, 신경세포 내 축적 우수
- 중추+말초 복합 증상 : 집중력 저하, 피로감, 감각 이상 등 동시 개선
- 만성 피로, 노화 관련 : 에너지 저하 티아민 대사 효율 향상
3) 주요 제품
- 벤포벨에스 (벤포티아민 100mg + 비스벤티아민 30mg) (종근당)
- 메가트루 633 (벤포티아민 50mg + 비스벤티아민 15mg) (유한양행)
- 액티진맥스 (벤포티아민 50mg + 비스벤티아민 50mg) (영진약품)
** 비교 요약
- 항목 : 벤포티아민 /푸르설티아민/ 비스벤티아민
- 지용성 여부 : ✔️/ ✔️ /✔️
- 흡수율 : 높음 /높음 /매우 높음
- 뇌 침투 : ❌ (BBB 통과 제한) /✔️/ ✔️
- 말초신경 작용 : ✔️/ ✔️/ ✔️✔️
- 중추신경 작용 : 약함/✔️ /✔️✔️
- 주요 적응증 : 당뇨신경병증, 신경통, 피로/ 중추 피로 집중력, 무기력/ 말초+중추 통합 신경질환, 만성 피로
- 대표 제품 : 벤포벨, 임팩타민/ 아로나민골드/ 벤포벨
** 어떤 사람에게 어떤 티아민?
- 당뇨 + 감각저하 + 통증 : 벤포티아민 or 비스벤티아민
- 정신적 피로 + 집중력 저하 : 푸르설티아민
- 노인 + 만성 피로 + 신경과민 : 비스벤티아민
- 비타민B군 결핍 일반 피로 : 벤포티아민 or 푸르설티아민 혼합형
복용하시는 비타민에, 어떤 형태의 티아민이 함유되어 있나요?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명언들 : 스누피, 찰리브라운, 스폰지밥, 뚱이, 징징이 (3) | 2025.05.15 |
---|---|
티아민(Vt. B1)에 관하여 : 여러 형태들의 특징, 결핍 및 과잉 (1) | 2025.05.14 |
건강 기능 식품 : 원료의 원산지 표시/함량 표시 필수 (0) | 2025.05.14 |
가공식품의 감미료 : 과당, 아스파탐, 수크랄로스, 스테비아, 자일리톨, 말티톨 등 (2) | 2025.05.14 |
사전투표, 5/29(목)~30(금) / 부재자 투표, 5/20(화)~25(일) (0) | 2025.05.13 |